영역별 수료 학점
구분 | 전공 | 일반선택 | 논문연구 | 수료학점 |
---|---|---|---|---|
석사 | 18학점 이상 | 6학점 | 24학점 이상 | |
박사 | 27학점 이상 | 9학점 | 36학점 이상 |
안전설계엔지니어링 비선형구조역학 위험도평가관리 충격공학 한계상태설계 선체구조설계특론 심해자원개발구조공학 조선해양 ICT 조선해양 초연결/초지능 |
선형진동론 선박진동제어 소음공학특론 |
고효율추진시스템이론 선체추진해석특론 |
탄성론 소성론 |
재료강도특론 연속체역학 피로파괴특론 |
시뮬레이션기반시스템설계 응용전산유체역학 연속체입자동역학 |
유체역학 해양파역학 |
설계공학특론 지능형선박설계특론 설계자동화특론 |
해양유체동역학 해양공학실험 |
선체저항특론 선체유동제어특론 |
점성유동이론 열시스템공학 |
저항저감소재특론 전기화학 |
유동유발진동론 다물체동역학 |
선박 및 부유체 동역학 선박조종제어론 |
논문연구 공개강좌 조선해양플랜트실무특론 조선해양현장실습 |
교육목표
조선해양공학과는 부산대학교의 교육이념과 목적을 바탕으로 윤리의식이 높고 의사소통능력이 있으며 문제해결력이 있는 조선해양분야 및 각종 공학분야에 종사할 공학기술인과 공학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요목
- NA75553 안전설계엔지니어링 (Safety Design Engineering) 3학점
스마트 해양산업분야에 정량적 위험도 평가 및 관리 체계에서 화재, 폭발, 충돌 및 낙하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극한환경 및 사고환경에 대해서 불안정성(Volatile), 불확실성(Uncertain), 복잡성 (complex) 및 모호성 (Ambiguous) (VUCA)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안전성 및 유연성 관련된 안전기술의 산업체에 실용적이고 진보된 방법론을 습득함. 다중 물리적연성, 다중 스케일, 다중 평가기준에 대한 초비선형성 과 Non-Gaisssinan 문제에 VUCA가 적용된 수치해석 모델을 습득함. 또한 확률론적 시나리오 선정법에서 비선형수치해석 및 실증실험 비교분석을 통하여 극한 및 사고환경에서 구조적 안전설계 엔지니어링 방법을 학습함. - NA62222 비선형구조역학 (Nonlinear Structural Mechanics) 3학점
극한 및 사고 환경에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이 나타내는 기하학적 및 재료적 비선형구조거동을 분석하는 기본전공 구조역학 심화 이론을 습득함. 또한 오늘날 기계, 구조물은 대형화, 복잡화 되어 가고 있으며, 하중이나 경계조건도 다양화에 따른 비선형 유한요소해석법을 통하여 비선형구조해석의 기초 및 심화 이론을 이해하고, 최종적으로 다양한 구조물에 발생하는 다양한 비선형문제인 좌굴, 소성붕괴, 압괴, 파단, 초기결함, 저온, 극저온, 고온, 고속하중속도, 부식등의 문제를 습득한 이론 및 수치해석적법을 통하여 해결을 목적으로 함. - NA70860 위험도평가관리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3학점
선박 및 해양플랫폼 운영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사고 (선각붕괴, 충돌, 좌초, 폭발, 화재, 중량물 낙하등)에 대한 인명, 환경, 재산에 대한 최신 위험도 평가와 관리법을 습득함. 기초적인 정성적 위험도 평가법 (Qual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뿐만 아니라 스마트 안전 운영 및 관리 기술의 핵심 내용인 사고의 정량적 위험도 평가법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에 중점으로 위험도기반 설계 적용 능력을 향상을 목표로 함. FLNG/FPSO등 해양플랫폼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스 폭발 화재 사고의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기술에 대한 적용사례를 학습함. - NA75552 충격공학 (Impact Engineering) 3학점
친환경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대상으로 발생 가능한 동적충격압력하중 문제를 도출하고 충격공학 이론, 해석, 실험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능력을 향상을 목적으로 함. 선박 및 해양구조물은 극한 및 사고환경하 동적압력하중 (슬로싱, 슬래밍, 갑판침수), 충격압력하중 (가연성물질의 누출에 화재, 폭발사고 등), 충격하중 (충돌, 좌초, 중량물 낙하사고)등 각종 동적충격하중의 기초 특성을 이해함. 심화과정으로 친환경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서 새로운 연료 및 취급화물 (LNG, LH2, H2 등)과 신개념 소재 적용에 따른 동적충격압력하중의 다양성 이해와 이론적 및 수치적 실험적 방법을 통한 동적응답거동특성을 학습함. - NA75551 한계상태설계 (Advanced Theory of Limit State Design) 3학점
- 친환경 선박 및 해양플랜트 설비의 설계를 위한 한계상태 설계기법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
- 친환경 선박설계에 활용되고 있는 최신의 한계상태 설계기술 토론 - NA73121 선체구조설계특론 (Advanced Theory of Ship Structural Design) 3학점
- 선체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구조역학이론을 활용하여 선각의 구조부재 치수 및 배치 등을 결정하는 기본 전공지식을 습득
- 설계안의 검토 및 구조개선방법에 관한 토론 - NA75572 심해자원개발구조공학 (Advanced Theory of Offshore Installations) 3학점
- 해양에너지 개발을 위해 건조되는 해양구조물의 구조설계 개념과 구조강도 성능 평가기법에 대한 최신기술을 이해
- 해양에너지 시스템의 개발동향과 관련기술에 관한 토론 - NA75554 조선해양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hip and Offshore) 3학점
조선해양 산업에 필요한 ICT 기술의 이론 및 실무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여 자율운항선박, 해양플랜트 및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에 필요한 ICT 기술을 교육 - NA75555 조선해양초연결/초지능 (Hyper-connectivity and Super-intelligence in Ship and Offshore) 3학점
스마트 친환경 선박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 기술의 교육을 통한 조선해양산업의 새로운 가치 창출 및 창의적 융합 인재양성 - NA62713 선형진동론 (Theory of Linear Vibration) 3학점
저진동 고품질 장비와 구조물의 설계와 제작에 활용될 수 있는 고등 동역학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실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선형 이산계 및 연속계의 고유진동 및 강제진동 해석에 이용되는 엄밀해법 및 근사해법을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선박, 해양플랜트 등의 기본 구조 부재인 축, 보, 보강판 및 탑재 장비 등에 대한 선형 진동 모델링 방법과 진동해석 및 진동 저감 능력을 함양시킨다. - NA75558 선박진동제어 (Ship Vibration Control) 3학점
과도한 선박 진동은 선체 및 국부구조의 피로파괴, 탑재장비의 손상 및 승조원과 승객의 안락성을 저해한다. 또한, 선박 진동으로 인한 수중방사소음은 해양생물의 위해 요인에 해당한다. 따라서, 선박진동의 방진 및 저감 기술은 친환경‧고품질 선박 건조를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이다. 이에 본 교과목에서는 실제 선박진동 발생 현상과 함께 이의 예방과 저감 및 평가에 요구되는 이론과 실무지식을 학습하여 선박 진동 해석 및 제어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NA69824 소음공학특론 (Advanced Theory of Noise Control) 3학점
정온 생활 및 작업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저소음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은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조선해양산업의 경우 승조원은 물론 수중방사소음에 대한 해양생물 보호 차원에서 친환경, 고품질 저소음 선박과 해양구조물 등의 설계/건조에 필요한 소음 저감기술이 핵심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강좌에서는 소리의 발생, 전달에 관한 제반 물리적 현상과 함께 실용적인 소음 해석 및 방지 기술을 강의하여 소음제어기술을 함양하고자 한다. - NA75559 고효율추진시스템이론 (Theory of High Efficiency Propulsion System) 3학점
실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친환경 추진 시스템의 구성 및 각 에너지 저감 장치의 원리에 대한 이해 - NA70859 선체추진해석특론 (Advanced analysis theory of ship propulsion) 3학점
프로펠러 설계에 기본이 되는 2차원, 3차원 날개 이론에 대한 폭넓은 이해 및 전문지식 습득 - NA75560 탄성론 (Theory of Elasticity) 3학점
재료역학의 후속 과목으로서 탄성체의 역학적 거동을 고전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변분원리를 바탕으로 유한 요소법, 차분법 등의 수치계산기법을 다룬다. - NA75561 소성론 (Theory of Plasticity) 3학점
탄성학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재료의 소성영역에서의 거동에 대한 기초이론을 강론함. - NA73713 재료강도특론 (Advanced Theory of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3학점
안전성, 신뢰성, 경제성을 갖춘 기계, 자동차 및 구조물 설계를 위해 일반적인 공학재료 전반의 기계적 성질 이해 기반 최적 설계를 목표로, 변형, 탄성 및 소성 역학을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료의 기계적 거동/강화기구, 파손이론, 피로 및 파괴강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구조물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역학적 기초를 마련함. - NA63495 연속체역학 (Continuum Mechanics) 3학점
연속체 이론을 바탕으로 텐서 이론, Kinematics, Kinetics, Constitutive equations등 기본이론을 통해 선형 고체재료에 대한 공학적 적용을 다룬다. - NA75562 피로파괴특론 (Advanced Theory of Fatigue and Fracture) 3학점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대한 피로파괴 현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결함의 존재에 따른 파괴역학적 평가기법 및 피로수명예측을 위한 지식을 익히고자 함. - NA68742 시뮬레이션기반시스템설계 (Simulation-based System Design) 3학점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와 관련된 유체시스템의 유체운동에 관한 물리적 현상 및 유체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설계 기술을 습득한다. 특히, 전산유체역학의 시뮬레이션 응용기술 습득과 함께 시스템 설계에 대한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스마트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 NA70852 응용전산유체역학 (Applied Computaional Techniques on Fluid Dynamics) 3학점
조선ㆍ해양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비압축성 유체운동에 관한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기술과 적용사례에 대해 학습한다. 전산유체역학의 전반적인 이론적 학습능력 외에, 조선ㆍ해양공학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자유표면 및 난류유동, 부유체 거동 등의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시킨다. - NA75563 연속체입자동역학 (Particle Dynamics of Continuum) 3학점
본 과정은 연속체의 동역학 해석을 위한 입자 기반의 이산화 기법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시뮬레이션 기술에 대해 다룬다. 특히, 선박/해양플랜트 뿐만 아니라 해양에너지 개발을 위한 매우 복잡한 시스템들간의 수치적 연성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 나아가 팀별로 계획한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과 공학적 응용력을 향상시킨다. - NA75564 유체역학 (Hydrodynamics) 3학점
조선해양공학의 선박해양과 관련하여 기본 전공으로서 유체역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해양유체를 연속체로서 가정하여 오일러 방정식, 포텐셜 유동 이론, 자유수면 유동 모델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 NA75571 해양파역학 (Water waves) 3학점
해양에너지 전파와 관련하여 파 운동을 일반적으로 어떻게 분류하는지 소개한다. (쌍곡선형 파형, 분산형 파형) 분산성파, 천수파 그리고 그들의 비선형 영향을 탐구한다. - NA63847 설계공학특론 (Advanced Theory of Design Engineering) 3학점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 학습의 유용 등에 관한 전반적 이해를 위해 기초 기식 및 응용지식을 학습 목표로 함. 선형모델, 데이터 에러와 노이즈 등에 관한 기본지식과 신경망 학습에 미치는 영향등을 이해하여 선박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초를 마련함. - NA70853 지능형선박설계특론 (Advanced Theory of Intelligent Ship Design) 3학점
스마트 지능형 선박설계를 위해 필요한 인공지능의 전반적인 개념과 응용 및 심화 이론을 제공함. 선형회귀, 선형분류, 신경망의 개념, 신경망 학습을 위한 개념과 방법 등을 소개함. 기계학습의 진단과 얕은 신경망, 깊은 신경망을 소개하고 이미지 분류 및 학습을 위한 CNN, 언어학습, 멀티 스텝 예측을 위한 RNN을 소개함 - NA62725 설계자동화특론 (Advanced Theory of Design Automation) 3학점
공학 시스템 설계의 최적화에 관한 체계적인 과정을 담고 있음. 최적화의 기본개념과 예제를 통해 공학 설계문제에 대한 응용을 목표로 함. 문제의 정식화, 도해법과 기본 최적화의 개념, 최적설계 개념, 수치해법을 이용한 최적화 방법 등을 통해 설계를 위한 능력과 체계적인 공학 설계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함. - NA75565 해양유체동역학 (Marine Hydrodynamics) 3학점
해양에서 원유·가스·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해양구조물의 유체동역학 특성·위치유지성능 해석 및 설계를 위한 이론 및 수치적 기법 학습 - NA75566 해양공학실험 (Physical Modeling of Ocean Engineering) 3학점
해양에서 원유·가스·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해양구조물의 유체동역학적 특성을 해석하는 이론을 기반으로 실험 및 해석을 통해 실제 현상으로 확장하기 위한 이론 학습 및 실습 - NA70855 선체저항특론 (Advanced Theory of Ship Resistance) 3학점
친환경: 선박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하여 고속선에서 중요한 조파저항과 실해역 운항시의 파랑 중 부가저항 저감 선형설계에 필요한 지식 학습 - NA70856 선체유동제어특론 (Advanced Theory of Ship Flow Control) 3학점
친환경: 선박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하여 선박 저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마찰저항 저감을 위한 선박 주위 난류유동 제어에 필요한 지식 학습 - NA75568 점성유동이론 (Viscous Flow Theory) 3학점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유체력 감소를 통한 에너지 절감 및 구조물 안정화를 위한 핵심이론인 점성유동을 학습한다. 점성이 지배적인 경계층 특성을 정의하는 매개변수들을 도출하고, 경계층 방정식 유도과정을 학습한다. 구조물에 따른 유동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점성유동 수학적 모델링 및 엄밀해법을 학습한다. 난류 경계층의 특성과 난류에너지의 생성 및 소산을 통한 저항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 선박 설계 및 추진기 효율 향상을 위한 능력을 함양시킨다. - NA75567 열시스템공학 (Thermal Systems Engineering) 3학점
조선해양분야의 열시스템 관련 장비의 설계 및 제작과 운용을 위한 열전달 및 에너지 변환에 관한 고등 이론 및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따라서, 복합재 열회로, 경계층 내 열전달 엄밀해법, 내부 및 외부 대류열전달, 상변화 및 증발 이론, 복사 이론 등을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선박과 해양플랜트의 기본 열시스템의 열에너지 수학적 모델링 및 해석기법, 극저온 연료 저장 시스템관련 열전달 이론 및 해석 방법, 해양 열에너지 이해 및 활용 기술 관련 능력을 함양시킨다. - NA70854 저항저감소재특론 (Advanced Theory for Drag Reduction Materials) 3학점
선박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로써의 도료에 대한 개념 및 종류에 대해서 이해하고 도료의 구성성분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따른 적용사례를 통하여 친환경 마찰저항 저감용 소재 개발을 위한 지식 습득 - NA75569 전기화학 (Electrochemistry) 3학점
해양에너지 및 수소경제 활성화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조선해양공학 적용을 위한 전기화학 이론의 이해 및 응용사례를 통한 지식 습득 - NA74576 유동유발진동론 (Flow-induced Vibration) 3학점
유체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유발진동 해석에 필요한 이론 학습과 이를 응용한 해양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에 대해 소개 - NA75570 다물체동역학 (Multibody Dynamics) 3학점
상호연결 되어 있는 강체들의 운동해석 및 에너지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동역학 이론 학습 - NA75556 선체 및 부유체 동역학 (Ship and Floating Body Dynamics) 3학점
- 선박이나 해상 부유체의 E14유체동역학적 해석을 목표로 함.
- 그 결과를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안전설계, 성능향상에 활용한다. - NA75557 선박조종제어론 (Ship Maneuverability and Control) 3학점
- 선박조종성능을 평가하고, 자동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무인선이나 자율운항 선박의 설계를 목표로 함. 그 결과를 선박의 운항자동화, 입출항시 안전확보 등에 활용한다. - NA62888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3학점
논문 주제에 대해서 상호 토론하고, 매주 논문의 진행과정에 대해서 체크하고, 지도 감독한다. - NA63873 공개강좌 (Special Topics in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3학점
산업체 임원, 과학기술계 전문가등에 의한 특별 초청강연으로서 조선해양분야 글로벌 리더육성을 위한 전략과 비전 제시. - NA74002 조선해양플랜트실무특론 (Advanced Application of Ship and Offshore Structures) 3학점
선박 및 해양플랜트 실무 전문가의 경험과 현장 자료를 활용하여 실무 및 연구 적용 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학습함 - NA75746 조선해양현장실습 (Internship in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3학점
- 조선해양공학 대학원 과정의 전공별 연구 역량을 국내외 대학교·연구소·기업 등에서 인턴십 또는 실습을 통한 융합적 실무 능력을 배양함